[백준 3052 | python3 | 1차원 배열] 4. 나머지
Q)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1 2 3 4 5 6 7 8 9 10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10 풀이 방법) 1차원 배열에 나머지를 담고, set() 으로 중복 값을 없앤다.
[백준 2577 | python3 | 1차원 배열] 3. 숫자의 개수
Q)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150 266 427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0..
[백준 2562 | python3 | 1차원 배열] 2. 최댓값
Q)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입력)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 3 29 38 12 57 74 40 85 61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85 8 상세 풀이) 1. range(9) ==> 0~8 ==> for 문 사용 시 9번 반복한다는 뜻. 2. int(input()) ==>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음. ==> 입..
[백준 10818 | python3 | 1차원 배열] 1. 최소, 최대
Q)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이때,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주어진다. 모든 정수는 -1,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5 20 10 35 30 7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정수 N개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7 35 1. python 내장 함수로 풀기 1) sort() 사용 2) max(), min() 사용 2. 배열 이용해서 풀기
[python3 | 알고리즘] 15. 문자열 조작(그룹 애너그램)
[조건] 문자열 배열을 받아 애너그램 단위로 그룹핑하기 ** 애너그램 : 문자를 재배열하여 다른 뜻을 가진 단어로 바꾸는 것 [입력] ["eat", "tea", "tan", "ate", "nat", "bat"] [출력] [ ["ate", "eat", "tea"], ["nat", "tan"]. ["bat"] ] 1. 정렬, 딕셔너리 사용 strs = ["eat", "tea", "tan", "ate", "nat", "bat"] def groupAnagrams(self, strs: List[str]) -> List[List[str]]: #딕셔너리 정의 anagrams = collections.defaultdict(list) for word in strs: #정렬해서 딕셔너리에 추가 anagrams[''.j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