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YTHON

(41)
[python3] 8. Generator(제너레이터) 1. generator 생성 및 사용 1) 생성 def get_num(): n = 0 while True: n += 1 yield n print(get_num()) >>> 2) 사용 g = get_num() next(g) next(g) next(g) >>> 1 >>> 2 >>> 3 2. 대표적 함수 - range() 2. Generator vs Array - 제너레이터 : 한 번 사용할 수 있는 루프(Object). 사용할 때 생성 - Array : 메모리에 생성해두고 사용 # Array # 이미 생성된 값이 들어가 있음. arr = [n for n in range(1000)] # Generator # 생성해야 함. (생성은 next()) gner = range(1000) # 길이 비교 (길이 같음) p..
[python3] 7. 동적 배열, 딕셔너리 1. 동적 배열 파이썬 vs 자바 list() ArrayList - list() ==> 모든 자료형을 포인터로 연결함. 1) 추가 append() 2) 삽입 insert() 3) 삭제 del remove() pop() 2. 딕셔너리 파이썬 vs 자바 dict() HashMap - 키,값 구조로 되어있다. - 내부적으로 Hash Table로 구현되어 있다. - python 3.7 이상 사용 가능 - 대부분의 연산이 빅오 표기법의 O(1)에 처리 가능한 매우 우수한 자료형이다. - python 3.6 이하에서는 입력 순서 유지가 되지 않음. 1) 출력 items() 2) 삭제 del 3) 키가 없을 때 에러 없이 키 생성 및 값 할당하기(defaultdict 객체) collections.defaultdict..
[python3] 6. 파이썬 표준 타입 구조 * 문자열은 불변 객체다! a = 'abc' a = 'def' ==> 'abc' 문자열 주소와 def 문자열 주소가 다르고, a는 abc 문자열 주소를 참조했다가 def 문자열 주소를 참조한다. ==> 즉, 참조 주소가 바뀌는 것. * 파이썬은 원시타입이 아니라 객체타입이다! 1) 원시타입(C, Java) - 메모리에 정확히 타입 크기만큼 공간을 할당한다. - 오로지 값으로 메모리를 채워넣는다. - 요소가 연속된 순서로 메모리에 배치된다. 2) 객체타입(Python, Java) - 불변 객체와 가변 객체로 나뉜다. - 가변 객체 :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set) - 불변 객체 : 그 외 모두 * 파이썬은 Null을 None으로 쓴다 1) None 비교 : is 2) 값 비교 : ==
[python3] 4. 리스트 컴프리헨션 1. 리스트 생성 # just 리스트 생성 nums = [] for n in range(1, 10+1): nums.append(n) # 리스트 컴프리헨션 nums = [x for x in range(10)]
[python3] 9. 로컬 모든 변수 조회 import pprint # 모든 변수 조회 # 디버깅 시 좋음 pprint.pprint(locals()
[python3] 3. 문자열 포맷팅 문자열 포맷팅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 1) % operator 2) .format() 3) f-string 1. % operator - 문자열에 숫자, 문자열을 대입할 수 있음 - 소수점 표현 가능 - 문자열 정렬 가능 - c언어 스타일 #숫자 대입 print('hello world! my age is %d' % 20) >>> hello world! my age is 20 #문자 대입 print('hi %s, my name is dabong' % 'jinny') >>> hi jinny, my name is dabong #값 여러개 대입 print('hi, my name is %s and age is %d.' % ('dabong', 28) >>> hi, my name is dabong and age is..
[python3] 2. 나눗셈 (몫, 나머지 연산) a = 5 b = 3 1. 나눗셈 a / b >>> 1.6666666... 2. 몫 구하기(정수) a // b >>> 1 3. 나머지 구하기(정수) a % b >>> 2 4. 몫과 나머지 한번에 구하기 divmod(a, b) >>> (1, 2)
[python3] 1. 입력, 출력 1. 사용자 입력 input() 2. 사용자 입력값 저장 str = input() 3. 문자열 출력 - 파이썬은 줄바꿈 자동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 줄바꿈 없이 출력 print('hello', end=' ') print('world') >>> hello world 4. 구분자 출력 print('1', '2', '3', '4', '5', sep=',') >>> 1,2,3,4,5 5. 리스트 출력 str = ['A', 'B', 'C', 'D'] print( '-'.join(str)) >>> A-B-C-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