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python3] 6. 파이썬 표준 타입 구조

728x90
반응형

표준 타입 계층 구조

 

 

* 문자열은 불변 객체다!

 

a = 'abc'

 

a = 'def'

 

==> 'abc' 문자열 주소와 def 문자열 주소가 다르고, a는 abc 문자열 주소를 참조했다가 def 문자열 주소를 참조한다.

==> 즉, 참조 주소가 바뀌는 것.

 

 

* 파이썬은 원시타입이 아니라 객체타입이다!

 

1) 원시타입(C, Java) 

  - 메모리에 정확히 타입 크기만큼 공간을 할당한다.

  - 오로지 값으로 메모리를 채워넣는다.

  - 요소가 연속된 순서로 메모리에 배치된다.

 

2) 객체타입(Python, Java)

  - 불변 객체와 가변 객체로 나뉜다.

  - 가변 객체 :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set)

  - 불변 객체 : 그 외 모두

 

 

* 파이썬은 Null을 None으로 쓴다

 

1) None 비교 : is

2) 값 비교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