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NUX

(11)
[Docker] 도커 이미지, 컨테이너 개념 [이미지 생성 ~ 컨테이너 접속 과정 (ex. centos)] 1. 이미지 검색 2. 이미지 다운로드 3. 이미지 기반 컨테이너 생성 4. 컨테이너 동작 5. 컨테이너 접속 #이미지 검색 / official 이미지 검색 ( centos 이미지 검색 예시 ) docker search centos / docker search --filter "is-official=true" centos #이미지 다운로드 (centos 이미지 다운로드 예시) docker pull centos #이미지 확인 docker images #다운받은 이미지 기반 컨테이너 생성(centos 이미지 기반 컨테이너 생성 예시) docker create --name 컨테이너명 -it centos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a ..
Centos 7 설치 및 윈도우 포맷 오늘은 놀고있는 컴퓨터를 서버로 쓰기 위해 윈도우가 깔려있던 컴퓨터를 밀고 리눅스를 설치하려고 한다. 평소에 vmware에 centos를 설치해보곤 했었는데 오늘은 os를 직접 설치하려한다. 윈도우를 포맷시키려면 먼저, CentOS7 을 설치하면서 설치 디스크를 지우고, 리눅스로 설치하면 밀어진다. 1. Centos7 부팅 USB로 부팅시킨다 [부팅 방법] 1) 리눅스 부팅 USB를 꽂고 컴퓨터 전원 누르고 켜질 때 F1, F2, DEL 버튼들을 눌러서 CMOS를 켠다. 2) 부팅 탭에서 부팅 옵션1에 부팅 USB 선택하고 재시작. 3) CENTOS7 설치 창이 뜨면 성공. [설치] 1) 언어, 키보드 영어 추가 2) 네트웤 이더넷 켬 3) 인프라로 선택 4) 설치 디스크 선택 후 내용 삭제, 용량 확보..
[xshell] 점프호스트 원래는 ssh 로 서버1(외부망)로 들어가서 -> 서버2(내부망)에 접속해야하는데 ex) 서버1 : 123.123.12 서버2 : 321.321.34 1) 서버1에 ssh 접속 // Xshell에 만든 세션(123.123.12.12)으로 접속 2) ssh 서버2 ip(호스트) // ex) ssh 321.321.34.34 ==> 서버2에 접속 점프호스트를 사용하면 내부망 서버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Xshell에 점프호스트 기능 이용해 만들어둔 등록정보 더블클릭 ==> 바로 321.321.34.34 에 접속 Xshell에서 점프 호스트 사용 방법 1. Xshell 탭이 없는 경우 Alt 키 누르면 메뉴 바 생성이 됨. 메뉴 바에서 => 도움말 -> 실험기능 으로 들어가서 Jump Host Paramet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