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백준 2292 | python3 | 기본 수학1] 24. 벌집

728x90
반응형

Q)
위의 그림과 같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벌집이 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방 1부터 시작해서 이웃하는 방에 돌아가면서
1씩 증가하는 번호를 주소로 매길 수 있다.
숫자 N이 주어졌을 때, 벌집의 중앙 1에서 N번 방까지 최소 개수의 방을 지나서 갈 때
몇 개의 방을 지나가는지(시작과 끝을 포함하여)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면, 13까지는 3개, 58까지는 5개를 지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0,000,000)이 주어진다.

13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방까지 최소 개수의 방을 지나서 갈 때 몇 개의 방을 지나는지 출력한다.

3

 

 

... 옛날 고딩 때 배운 등차수열 공식을 어찌어찌 계산해서

n(n-1)/2 어쩌고 저쩌고 공식으로 만들어서 while문을 썼더니 시간초과로 실패한다...

 

그냥 수열 개념으로 규칙을 잡아서 그대로 변수를 만들어서 실행하는게 답이네!

 1. n : 입력 받는 수

 2. arr : 1, 7, 19, 37 이렇게 구간 별로 방 개수가 1, 2, 3, 4, ... 개로 늘어남.

 3. cnt : 1, 2, 3, 4, ... 1씩 증가하는 수로 arr 증가시킬 때 쓰는 index. 방의 개수를 표현

 

  arr = 1 + 6 * 방의 개수

 

  1 ==> 방 1개

  2~7 ==> 방 2개

  8~19 ==> 방 3개

  20~37 ==> 방 4개

 

728x90
반응형